칼럼

내 아이 눈맞춤 잘 살펴보자

내 아이 눈맞춤 잘 살펴보자

by 운영자 2020.06.04

언어발달이 또래보다 느린 아동을 만나보면 우선 대화할 때 눈 맞춤이 되는지부터 살피야 한다. 왜냐하면 자폐증 및 심리적인 문제를 동반한 아이는 같은 또래의 정상적인 아이에 비해 적은 눈 맞춤(Eye Contact)을 하기 때문이다. 아이는 커가면서 엄마, 아빠와 같이 주양육자 혹은 옆에 있는 사물, 여러 사람들과 서서히 눈맞춤을 시작한다. 아동발달에서 눈 맞춤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눈 맞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중요한 한 가지 요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인 상호작용이란 용어 그대로 사회적으로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아이의 경우 우리가 어떤 것을 보여주거나 아이에게 말을 거는 것과 같이 아이에게 자극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아이의 반응이 웃는다거나 눈을 쳐다보거나 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즉, 아이가 눈 맞춤이 잘 되느냐 안 되느냐는 실제로 아이가 상호작용을 얼마나 잘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단순히 언어영역만의 문제인지 심리적 발달의 문제를 동반하고 있는지를 판가름하게 된다.
이렇듯이 눈맞춤은 아동발달의 중요한 지표로써 눈맞춤이 거의 없거나 언어발달이 늦는 경우 반드시 전문가를 찾아 상담을 받아보아야 한다. 사람과의 눈 맞춤이 되지 않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사물과의 눈 맞춤이 잘 되지 않는 경우 환경에 대한 탐색이 어려워지고 나아가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눈 맞춤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인지적인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면 즉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원인을 찾아서 빠르게 대처해야 아이가 정상적인 발달과정을 통해 언어 및 인지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상호작용이 어려운 경우, 가정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부모들이 유도하는 것이 좋다. 아동이 눈 맞춤을 할 때마다 ‘와, 정말 잘했어’ 등의 말로 칭찬하여 격려한다. 상대의 얼굴과 눈에 주의를 돌려 눈 맞춤을 촉진할 수 있도록 모자를 쓰거나, 웃긴 안경, 스티거, 혹은 얼굴 페인팅을 활용할 수 있다. 아동과 활동할 때는 아이 바로 앞, 아동의 눈높이 혹은 아래에 위치하여 아동이 상대를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물건을 줄 때도 눈 근처에 위치시켜 눈 맞춤을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