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과 이브의 기원
아담과 이브의 기원
by 운영자 2020.04.27
지난 칼럼에 이어 성결정, 염색체에 관한 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염색체를 동물, 종마다 살펴보면 그 유사성을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종일수록 같은 유전기호를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같은 인간이라고 해도 서로 같은 염색체 내에 같은 유전기호들이 같기도 하지만 사람들이 서로 다른 인종마다 다른 특징을 보여주는 것처럼 다른 기호들이 있습니다.
염색체 중에서 성염색체, 즉 X염색체와 Y염색체들의 기원은 어디에 있을까? 아담과 이브처럼 그 처음은 어디일까? 그리고 거기서 분화되어 인종, 민족들마다의 서로의 유사성은 어디에 있을까? 이런 질문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성염색체에 관한 연구의 기본 질문들입니다.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얼마나 같을까? 에스키모인들, 마야사람들과 같은 조상에서 나온 사람들일까 하는 질문들도 그러합니다. 남성을 연구하려면 남성에게만 존재하고 물려받는 Y염색체를 연구해 특성과 유사, 특이점을 찾으면 됩니다.
그러면 여성의 기원을 찾으려면 X염색체를 찾는 것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X염색체는 남자도 갖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여성에게서만 기원하는 유전물질을 찾아야하는데 그것이 바로 mtDNA라는 것인데, 이는 세포내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내 공장이 있는데 그 안에 있는 DNA가 mtDNA입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날 때 정자에는 체세포 염색체의 반이 있는데 46개중 반인 23개가 있고 이는 22개와 X 또는 Y염색체를 포함합니다. 난자는 22개와 X염색체를 갖고 있고, 염색체를 갖는 핵물질 이외 다른 세포물질을 적게 갖고 있는 반면 난자는 아주 큰 상태로 많은 세포내 물질들로 이루어져있고 그중 하나가 미토콘드리아입니다. 그래서 인간에게 있는 mtDNA는 엄마에게서만 받고, 거슬러 올라가면 그 처음은 이브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Y염색체를 연구하면 남성의 기원을, mtDNA를 연구하면 여성의 기원을 알 수 있고 각기 다른 기원, 장소와 시간임을 알아내고 있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인류가 어떻게 전 세계로 퍼져서 이주를 하였고 이 이주와 언어의 유사성, 변화 등에 관해서도 유사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염색체 중에서 성염색체, 즉 X염색체와 Y염색체들의 기원은 어디에 있을까? 아담과 이브처럼 그 처음은 어디일까? 그리고 거기서 분화되어 인종, 민족들마다의 서로의 유사성은 어디에 있을까? 이런 질문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성염색체에 관한 연구의 기본 질문들입니다.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얼마나 같을까? 에스키모인들, 마야사람들과 같은 조상에서 나온 사람들일까 하는 질문들도 그러합니다. 남성을 연구하려면 남성에게만 존재하고 물려받는 Y염색체를 연구해 특성과 유사, 특이점을 찾으면 됩니다.
그러면 여성의 기원을 찾으려면 X염색체를 찾는 것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X염색체는 남자도 갖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여성에게서만 기원하는 유전물질을 찾아야하는데 그것이 바로 mtDNA라는 것인데, 이는 세포내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내 공장이 있는데 그 안에 있는 DNA가 mtDNA입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날 때 정자에는 체세포 염색체의 반이 있는데 46개중 반인 23개가 있고 이는 22개와 X 또는 Y염색체를 포함합니다. 난자는 22개와 X염색체를 갖고 있고, 염색체를 갖는 핵물질 이외 다른 세포물질을 적게 갖고 있는 반면 난자는 아주 큰 상태로 많은 세포내 물질들로 이루어져있고 그중 하나가 미토콘드리아입니다. 그래서 인간에게 있는 mtDNA는 엄마에게서만 받고, 거슬러 올라가면 그 처음은 이브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Y염색체를 연구하면 남성의 기원을, mtDNA를 연구하면 여성의 기원을 알 수 있고 각기 다른 기원, 장소와 시간임을 알아내고 있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인류가 어떻게 전 세계로 퍼져서 이주를 하였고 이 이주와 언어의 유사성, 변화 등에 관해서도 유사함을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