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테리의 한의학 치료
히스테리의 한의학 치료
by 운영자 2020.03.19
한번쯤은 ‘히스테리를 부린다.’라는 표현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보통 이 말을 짜증을 잘 내는 사람에게 부정적인 어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 히스테리의 정확한 뜻을 알아보고, 치료가 필요한 경우와 치료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히스테리는 정신의학적 용어로 전환장애라고 합니다. 욕구불만, 긴장, 분노 등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신체적인 증상으로 ‘전환’되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런 용어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신체적인 증상에는 걸음걸이가 이상해지거나, 감각이 예민해지거나 무뎌지거나,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되거나, 발작하며 실신하는 등의 증상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평소 남편과의 갈등으로 인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던 아내가 말다툼 도중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쌓여온 스트레스와 갈등, 억압된 정서가 한 번에 폭발하는 것입니다.
히스테리는 위기상황에서 스스로 탈출하기 위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히스테리 환자들은 자신의 상태를 남들이 알아줬으면 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증상에 대해 조금은 과장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히스테리 증상이 있고 난 후, 주변인들의 걱정이나 보살핌을 통해 그런 욕구를 충족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히스테리는 계획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에서 꾀병과는 다릅니다. 꾀병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계획적으로 행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히스테리는 ‘히스테라’ 즉 자궁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기원했습니다. 그만큼 히스테리는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습니다. 남성에게도 스트레스, 분노, 긴장 등의 정서가 극심해지고 축적되면 히스테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병의 원인중 하나가 칠정, 즉 사람의 감정입니다. 히스테리 증상은 이런 칠정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臟躁, 中氣, 鬱症 등으로 봅니다. 이에 解鬱 (뭉친 것을 풀어줌), 順氣(막힌 기를 잘 흐르게 도와줌), 安神(흐트러진 정신을 안정시킴) 등의 치법을 씁니다. 침과 한약 등 전통적인 치료방법에 더하여 두개천골요법 같은 추나요법, 그리고 상담을 통한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과 생활교정을 병행하면 좋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히스테리는 정신의학적 용어로 전환장애라고 합니다. 욕구불만, 긴장, 분노 등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신체적인 증상으로 ‘전환’되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런 용어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신체적인 증상에는 걸음걸이가 이상해지거나, 감각이 예민해지거나 무뎌지거나,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되거나, 발작하며 실신하는 등의 증상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평소 남편과의 갈등으로 인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던 아내가 말다툼 도중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쌓여온 스트레스와 갈등, 억압된 정서가 한 번에 폭발하는 것입니다.
히스테리는 위기상황에서 스스로 탈출하기 위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히스테리 환자들은 자신의 상태를 남들이 알아줬으면 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증상에 대해 조금은 과장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히스테리 증상이 있고 난 후, 주변인들의 걱정이나 보살핌을 통해 그런 욕구를 충족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히스테리는 계획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에서 꾀병과는 다릅니다. 꾀병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계획적으로 행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히스테리는 ‘히스테라’ 즉 자궁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기원했습니다. 그만큼 히스테리는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 않습니다. 남성에게도 스트레스, 분노, 긴장 등의 정서가 극심해지고 축적되면 히스테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병의 원인중 하나가 칠정, 즉 사람의 감정입니다. 히스테리 증상은 이런 칠정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臟躁, 中氣, 鬱症 등으로 봅니다. 이에 解鬱 (뭉친 것을 풀어줌), 順氣(막힌 기를 잘 흐르게 도와줌), 安神(흐트러진 정신을 안정시킴) 등의 치법을 씁니다. 침과 한약 등 전통적인 치료방법에 더하여 두개천골요법 같은 추나요법, 그리고 상담을 통한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과 생활교정을 병행하면 좋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