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려면(2)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려면(2)
by 운영자 2019.07.04
아이의 사회성이 커지면 아이는 공감능력이 발달하여 다른 사람의 상황과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자기표현능력이 증가하는데 자기표현능력이 자라면 학교에서 있었던 문제들을 부모에게 솔직하게 털어놓거나 친구와의 다툼을 대화로 풀어 나갈 수 있게 된다.
사회성은 어른이 되면 저절로 완성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사회성은 경험과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닦아 나가게 된다.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훈련이 뒷받침되면 아이의 사회성은 건강하게 발달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부모는 다음과 같은 사회성을 위한 일상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합리적 설명이다. 즉 화내지 말고 이유를 설명하여야 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민주적일 때 아이의 사회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부모가 통제적이거나 독재적이면 아이의 사교성은 떨어지고 독립심도 낮아진다. 과잉보호를 받으며 자란 아이도 정서가 불안하고 적응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부모가 평소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등 민주적인 양육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아이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화부터 내지 말고 이유를 물어보고 왜 야단을 맞는지 명확히 설명해 줘야 한다.
두 번째는 친사회적인 행동이다. 영유아기에는 보고 듣는 것으로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게 되므로 부모가 평소 이웃들과 인사를 잘 나누고, 예절을 지키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공공장소에서도 질서를 잘 지키고 양보하는 등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가족이나 친구 모임 등에 아이와 동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세 번째는 집으로 아이의 친구를 초대하는 것이다. 가장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사회성 키우기 방법으로 아이와 비슷한 성향의 친구를 집으로 초대해 함께 놀게 하는 것이다. 아이가 익숙해지면 친구를 두 명, 세 명으로 늘려간다.
네 번째는 대화의 기술이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는 대화의 기술이 부족하거나 말투가 타인에게 반감을 사는 경우가 많다. 말투가 거칠거나 대화 방법을 잘 모르는 아이에게는 적절한 대화 기술을 가르쳐 두면 도움이 된다.
사회성은 어른이 되면 저절로 완성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사회성은 경험과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닦아 나가게 된다.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훈련이 뒷받침되면 아이의 사회성은 건강하게 발달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부모는 다음과 같은 사회성을 위한 일상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합리적 설명이다. 즉 화내지 말고 이유를 설명하여야 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민주적일 때 아이의 사회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부모가 통제적이거나 독재적이면 아이의 사교성은 떨어지고 독립심도 낮아진다. 과잉보호를 받으며 자란 아이도 정서가 불안하고 적응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부모가 평소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등 민주적인 양육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아이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화부터 내지 말고 이유를 물어보고 왜 야단을 맞는지 명확히 설명해 줘야 한다.
두 번째는 친사회적인 행동이다. 영유아기에는 보고 듣는 것으로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게 되므로 부모가 평소 이웃들과 인사를 잘 나누고, 예절을 지키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공공장소에서도 질서를 잘 지키고 양보하는 등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가족이나 친구 모임 등에 아이와 동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세 번째는 집으로 아이의 친구를 초대하는 것이다. 가장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사회성 키우기 방법으로 아이와 비슷한 성향의 친구를 집으로 초대해 함께 놀게 하는 것이다. 아이가 익숙해지면 친구를 두 명, 세 명으로 늘려간다.
네 번째는 대화의 기술이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는 대화의 기술이 부족하거나 말투가 타인에게 반감을 사는 경우가 많다. 말투가 거칠거나 대화 방법을 잘 모르는 아이에게는 적절한 대화 기술을 가르쳐 두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