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와 역사에 대하여
바이러스와 역사에 대하여
by 운영자 2019.12.09
겨울입니다. 날씨가 추워질수록 많은 병들이 많아지게 되는데 균들이 잘 자라는 여름의 감염성 질환과는 달리, 겨울에도 잘 살아나고 전염력이 높은 바이러스 성 질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연구하는 학문이 미생물학입니다. 감염병 원인이 되는 균을 병원균이라고 하는데 크게는 박테리아, 즉 균입니다.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크기인데 잘 안 보이는 작은 균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균의 양상을 넘어선 결핵균, 곰팡이, 그리고 더 큰 것으로는 리켓치아, 기생충 등으로 분류가 되고 가장 작은 병원균, 균이라는 정의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작은 단위의 물질로 단백질과 그 안에 유전정보를 갖는 DAN 또는 RNA를 갖고 있는 구조로 스스로 생명현상을 일으키지 못하고 생명체 세포 안에서 번식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생물체로 분류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특별한 성질이나 현미경으로도 관찰하기 어려운 작은 구조라는 이유로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전이 아닙니다.
남아메리카의 잉카, 마야문명, 인디언의 몰살에는 천연두라는 바이러스 질환의 영향이 컸고 1,800년대 중반에 감자마름병으로 아일랜드 800만 인구 중에 100만 명 이상 굶어죽고 많은 사람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는데 전 인구의 1/4이 아일랜드를 떠났고 현재도 가까이 있는 독감은 1918년 스페인 독감이 유명한데 전 세계 5,000만 명 가까운 사망자를 냈고 1차 세계대전 이후 시대와 맞물려 많은 곳에서 역사의 방향을 바꾸어 놓았고 특히 인구의 이동은 미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3·1운동 직전 우리나라에서도 독감으로 약 14만 명의 사망자가 났고 이후의 일제 강점기 역사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에 들어서도 인푸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1968년 홍콩독감, HIV에 의한 AIDS, 2009년 신종 플루, 2015년 메르스, 중동호흡기 증후군, 그리고 조류독감,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등 아주 많게 인간을 직접 공격하거나 조류, 돼지 등에 치명적인 감염병을 만들어 내고 있고 바이러스 간염은 훨씬 더 흔합니다.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연구하는 학문이 미생물학입니다. 감염병 원인이 되는 균을 병원균이라고 하는데 크게는 박테리아, 즉 균입니다.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크기인데 잘 안 보이는 작은 균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균의 양상을 넘어선 결핵균, 곰팡이, 그리고 더 큰 것으로는 리켓치아, 기생충 등으로 분류가 되고 가장 작은 병원균, 균이라는 정의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작은 단위의 물질로 단백질과 그 안에 유전정보를 갖는 DAN 또는 RNA를 갖고 있는 구조로 스스로 생명현상을 일으키지 못하고 생명체 세포 안에서 번식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생물체로 분류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특별한 성질이나 현미경으로도 관찰하기 어려운 작은 구조라는 이유로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전이 아닙니다.
남아메리카의 잉카, 마야문명, 인디언의 몰살에는 천연두라는 바이러스 질환의 영향이 컸고 1,800년대 중반에 감자마름병으로 아일랜드 800만 인구 중에 100만 명 이상 굶어죽고 많은 사람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는데 전 인구의 1/4이 아일랜드를 떠났고 현재도 가까이 있는 독감은 1918년 스페인 독감이 유명한데 전 세계 5,000만 명 가까운 사망자를 냈고 1차 세계대전 이후 시대와 맞물려 많은 곳에서 역사의 방향을 바꾸어 놓았고 특히 인구의 이동은 미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3·1운동 직전 우리나라에서도 독감으로 약 14만 명의 사망자가 났고 이후의 일제 강점기 역사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에 들어서도 인푸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1968년 홍콩독감, HIV에 의한 AIDS, 2009년 신종 플루, 2015년 메르스, 중동호흡기 증후군, 그리고 조류독감,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등 아주 많게 인간을 직접 공격하거나 조류, 돼지 등에 치명적인 감염병을 만들어 내고 있고 바이러스 간염은 훨씬 더 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