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유종식-생활속의자동차이야기

전기자동차의 감속기

전기자동차의 감속기

by 운영자 2018.05.15

요즘 전기자동차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여기에 수소자동차가 친환경 자동차의 종류를 더해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소자동차 기술은 세계 최고라고 합니다. 아직은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지 않아 수소자동차 활성화가 더뎌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기자동차와 수소 자동차는 큰 의미로는 전기자동차의 일종입니다. 수소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면 수소자동차, 전기로 배터리를 바로 충전 시키면 전기자동차입니다. 그래서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자동차의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 변속기를 변속하여 자동차를 구동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변속기가 없습니다. 변속을 시켜서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에서 나온 전기가 모터를 돌려주는데 그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오히려 감속시켜주어만 되기 때문에 감속기를 통하여 바퀴를 돌려주는 것입니다.

감속기의 기어비는 보통 7.2~9.4:1로 되어 있어서 감속기를 통해 전달된 동력으로 자동차의 앞 바퀴를 구동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모터의 기어는 빠른 속도로 돌기 때문에 그 속도로 자동차 바퀴를 구동한다면 너무나 빠른 속도로 주행하게 됩니다. 실제적으로는 자동차를 구동하려면 출력과 토크가 구동에 맞도록 설정되어야하는데 모터의 빠른 속도만으로는 자동차의 구동 출력에는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속도를 줄여서 출력을 높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내연기관에 있는 변속레버 대신에 감속기(Gear Drive Unit)에서 변속할 때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전자식변속버튼을 눌러서 조작하여야합니다. 이것의 모양은 마치 컴퓨터 마우스와 비슷하게 생겨서 주행과, 주차 등의 모드를 클릭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처음 조작할 때는 레버가 없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수 있으나 점차 익숙하게 되면 더 편리해 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