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유종식-생활속의자동차이야기

전기자동차 파워다운 경고등

전기자동차 파워다운 경고등

by 운영자 2018.05.01

전기자동차에는 일반 자동차와는 달리 없는 장치와 경고등이 있습니다. 없는 장치는 엔진이 없기 때문에 일반 자동차에 있는 RPM 표시등이 없습니다. 대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지난번에 알려드렸듯이 주행가능 표시등이 있으며 전기 자동차 제어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의 고장이나 액추에이터, 에어컨 전동압축기 등에 이상이 있을 때 켜지는 서비스 경고등, 전기자동차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의 출력이 제한되는 파워다운 경고등이 있습니다.

이 경고등은 구동용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 일 때 경고등이 켜지게 되며 전압이 낮아지고 있을 때, 모터나 구동용 배터리의 온도가 높거나 낮을 때, 냉각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때 이 경고등이 켜지게 됩니다. 그러니까 정상적인 주행에 문제가 되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켜진다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이 파워다운 경고등이 켜져 있을 경우에는 급가속이나 급출발을 해서는 안됩니다.

이밖에 충전표시등은 전기 콘센트처럼 그려져 있어서 구동용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여 줍니다. 충전 중이면 적색등이 켜지게 됩니다. 또 배터리와 관련돼 구동용 배터리 잔령 경고등이 있어서 구동용 배터리의 잔량이 적을 때 경고등이 켜지게 되며 이 경고등이 켜지게 되면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20~30km 이내이므로 즉시 충전해야 합니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가 연료이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보조배터리가 또 있기 때문에 그 보조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 등 충전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을 때 경고등이 켜지게 됩니다. 이때는 차량을 안전한 곳에 이동시키고 시동을 끈후 다시 시동을 걸어 경고등이 켜져 있는 지 확인하고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점검을 받아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