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늠 가름 갈음
가늠 가름 갈음
by 운영자 2020.06.25
“일을 할 때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 지 (가늠, 가름, 갈음)해 보고 시작해야 한다.”
“누가 이길 지 승패를 (가늠, 가름, 갈음)하자.”
“지난번에 낸 보고서로 수행평가를 (가늠, 가름, 갈음)하겠다.”
위의 ( )에 있는 말들 가운데서 알맞은 말을 골라 보자. ‘가늠, 가름, 갈음’은 생긴 모양과 발음이 비슷하고, 모두 뒤에 ‘-하다’가 붙은 형태로도 쓰여 구별하여 쓰기 어렵다.
먼저 ‘가늠’은 ‘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려 봄. 또는 그 목표나 기준’을 뜻한다.
“그는 막연한 가늠으로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낭패를 당했다.”
또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의 뜻으로도 쓴다.
“그분은 겉모습을 보아서는 나이를 가늠하기가 어렵다.”
‘가늠’을 ‘헤아림’으로 바꾸어 이해하면 쉬울 듯하다.
‘가름’은 ‘가르다’에서 온 말이다.
“요즘 애들은 여자인지 남자인지 가름이 되지 않을 때가 많다.”
‘승부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그 둘은 눈싸움으로 이미 승부를 가름했다.”처럼 쓰는데, ‘가름’은 ‘둘로 가름’, ‘편을 가름’, ‘판가름’과 같이 ‘(이쪽저쪽을) 가르는 것’ 또는 ‘나누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
‘갈음’은 ‘갈다’에서 온 말이다.
“전등을 새것으로 갈아 끼웠다.”에서와 같이 ‘갈다’는 ‘이것을 저것으로 바꾸다’의 뜻인데, ‘갈음하다’는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하다’의 뜻으로 쓴다.
“제 소개는 노래 한 곡으로 갈음할까 합니다.”와 같이 ‘대신하다’로 이해하면 된다.
“누가 이길 지 승패를 (가늠, 가름, 갈음)하자.”
“지난번에 낸 보고서로 수행평가를 (가늠, 가름, 갈음)하겠다.”
위의 ( )에 있는 말들 가운데서 알맞은 말을 골라 보자. ‘가늠, 가름, 갈음’은 생긴 모양과 발음이 비슷하고, 모두 뒤에 ‘-하다’가 붙은 형태로도 쓰여 구별하여 쓰기 어렵다.
먼저 ‘가늠’은 ‘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려 봄. 또는 그 목표나 기준’을 뜻한다.
“그는 막연한 가늠으로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낭패를 당했다.”
또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의 뜻으로도 쓴다.
“그분은 겉모습을 보아서는 나이를 가늠하기가 어렵다.”
‘가늠’을 ‘헤아림’으로 바꾸어 이해하면 쉬울 듯하다.
‘가름’은 ‘가르다’에서 온 말이다.
“요즘 애들은 여자인지 남자인지 가름이 되지 않을 때가 많다.”
‘승부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그 둘은 눈싸움으로 이미 승부를 가름했다.”처럼 쓰는데, ‘가름’은 ‘둘로 가름’, ‘편을 가름’, ‘판가름’과 같이 ‘(이쪽저쪽을) 가르는 것’ 또는 ‘나누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
‘갈음’은 ‘갈다’에서 온 말이다.
“전등을 새것으로 갈아 끼웠다.”에서와 같이 ‘갈다’는 ‘이것을 저것으로 바꾸다’의 뜻인데, ‘갈음하다’는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하다’의 뜻으로 쓴다.
“제 소개는 노래 한 곡으로 갈음할까 합니다.”와 같이 ‘대신하다’로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