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하이푸 시술에 대한 반응도(1)

하이푸 시술에 대한 반응도(1)

by 운영자 2020.03.31

산부인과에서 하이푸(HIFU, 초음파 유도하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는 초음파를 통해서 자궁근종, 선근증을 치료하는 기계, 원리를 말합니다.
앞서 알려드린 바와 같이 근종은 위치에 따라 벽내근종, 바깥으로 자라는 장막하근종, 내막 안으로 들어오는 점막하근종으로 나뉘는데 벽내근종이라고 해도 커지면 점막하근종의 양상을 띠게 되어 점막하근종처럼 생리통과 생리양이 많아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선근증은 가장 많은 타입으로 두 가지, 미만성 선근증과 결절형 선근증으로 나뉩니다.
근종은 위치에 따라 증상에 준하여 초음파로 진단이 되지만 선근증은 수술을 통해서 진단을 할 수 있는 것이기에 초음파나 MRI 소견으로도 100% 진단은 불가능합니다.
자궁근종의 경우 MRI상에 다양한 패턴을 보여주는데 크게 나누면 MRI상에서 근종을 다섯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근종의 혈관이나 수분 함유와 치밀함의 정도로 MRI 영상에서의 다른 시그널로 보이기 때문이고 대략적으로 하이푸 에너지를 잘 흡수해 괴사가 잘 되는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선근증은 그 자체가 내막조직과 혈관들을 포함하는 조직이 만들어져있으므로 근종보다는 에너지에 괴사되는 정도가 같을 수는 없습니다. 아주 잘 괴사되는 선근증이라 하더라도 선근증 자체가 명확한 경계가 불분명한 덩어리이므로 반응이 나쁜 근종보다 나을 수는 어렵습니다.
근종의 해부학적인 분류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근종과 달리 배안으로 자라는 장막하근종에는 100% 에너지를 주기 어려운데 주변에 장과 같은 장기를 피하기 어려운 해부학적 위치가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시술 후에 경계를 계측해 부피를 재어서 그 감소율을 시술 후 일주일, 한 달, 석 달, 여섯 달 정도를 재어보면 그 부피의 감소를 그래프로 그려서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데 근종 종류로 따지면 벽내근종이 가장 감소가 좋고 그 다음이 점막하근종, 장막하근종 순입니다. 혈관이 적은 선근증인 경우에도 괴사가 잘 되기는 하지만 미만성 선근증은 그 반응이 가장 약한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