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성조숙증과 소아비만과 성장

성조숙증과 소아비만과 성장

by 운영자 2020.01.14

최근 성조숙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건강심사평가원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8만6,352명의 소아가 성조숙증으로 진단됐고 2010년 2만8,000명, 2011년 4만6,250명, 2012년 5만5,333명, 2013년 6만6,395명 등으로 2010년 이후 성조숙증 환자는 4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이 여아에서 8세 이전(또는 유방발달이 8세 이전, 음모발달이 9세 이전, 초경이 9.5세 이전), 남아에서는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성조숙증 원인은 스트레스, 잘못된 생활습관과 서구화된 식습관, 그리고 환경호르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결국 소아비만을 야기하여 성조숙증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비만을 ‘습열’의 범주로 보고 있습니다. 성조숙증 및 소아비만의 치료는 아이 몸속에 내부의 습열이 쌓이게 된 원인을 찾아 제거해주며 허약해진 기운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스트레스에 약한 아이들은 간에 뭉쳐있는 열과 나쁜 기운을 풀어주고, 체내에 진액이 부족해 습열이 상체로 치솟는 아이들은 진액을 보충해 습열이 잘 순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비만이나 잘못된 식습관이 있는 아이들은 약해진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몸속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켜주어 쌓인 습열을 다스려 줍니다.
소아비만을 치료하는 경우, 체중감량뿐만 아니라 성장에 방해가 되지 않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포만감과 식욕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약재를 함께 처방하여 아이가 비만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키도 클 수 있는 치료를 동시에 하게 됩니다.
예후의 평가에 있어서도 체중 보다는 체지방율 감소에 의미를 두셔야 하며 체형분석기를 통해 일정기간 동안 어느 정도의 외형적 변화가 있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소아비만을 치료하는 경우에는 올바른 성장이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두고 치료하게 됩니다. 급격한 체중 감량을 진행하는 것은 아이의 건강과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칼로리 제한보다는 건강식단과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치료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