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물로 쓴 글씨
금물로 쓴 글씨
by 운영자 2019.10.08
- 허형만-
지성으로 절에 다니시는 어머니께서
장롱 깊숙한 곳에 모셔둔
금물로 씌어진 반야심경을 내놓으시며
제 손을 고즈너기 잡으셨지요
저도 어머니 마틀마틀한 손결이
어쩌면 이리도 다사롭냐고 눈웃음 쳐주고
알만한 글자 홰친홰친 읽어 내려가니
눈물 흘리시며 나무아미타불 합장하셨지요
그날 밤 저는 잠 한 숨 못 잤어요
어머니 흘리시던 그 여울 같은 눈물이
하전하전한 나이이신데도 당신의 피를
금물로 바꾸신 글씨였음을 알았거든요
문협 문안지부 刊 『 무안문학』, 2006년에서
작품설명
이 세상 모든 어머니가 부처 아닌 어머니 없을 것이고 하느님 아닌 어머니가 없을 것이다. 어머니의 사랑이라면 하느님도 되고 부처님도 될 것이기 때문이다. 누가 그 헌신을 대신할 만큼 나를 다독여 줄까 생각을 해 보면 아무도 없다고 손사래를 칠 것이다. 허형만 시인의 시 「금물로 쓴 글씨」는 시인의 어머니께서 금물로 쓴 반야심경을 내놓으시면서 그 글씨를 읽어 내려가자 어머니는 말없이 나무아미타불을 외우며 합장을 하셨다고 했다. 본인이 직접 금물로 반야심경을 쓰시지는 않았겠지만 반야심경의 금물 글씨를 받고서 그 뜻을 가슴에 깊이 새겼을 것이다.
글씨를 금물로 썼다고 해서 그 뜻이 더 고귀한 것은 아니다. 글씨를 쓰는 사람의 마음이 얼마나 깊이 담겼느냐에 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물로 글씨를 썼다는 것은 그만큼 그 뜻이 소중하고 마음의 빛으로 삼고 싶다는 애정이 절실하다는 거다. 허형만 시인은 반야심경의 금물 글씨를 통해 일생 어머니께서 무엇을 소망하며 살았는지, 어머니의 손을 잡고 다정다감하게도 눈웃음쳐주며 그 높은 뜻을 금물 글씨로 바꾸어 내놓으신 마음을 바라보신다. 피로 새긴 어머니의 마음 글씨이기에 반야심경 깊은 뜻은 모르더라도 어머니 마음이 글씨로 빛나고 있음을 읽게 하는 시다.
지성으로 절에 다니시는 어머니께서
장롱 깊숙한 곳에 모셔둔
금물로 씌어진 반야심경을 내놓으시며
제 손을 고즈너기 잡으셨지요
저도 어머니 마틀마틀한 손결이
어쩌면 이리도 다사롭냐고 눈웃음 쳐주고
알만한 글자 홰친홰친 읽어 내려가니
눈물 흘리시며 나무아미타불 합장하셨지요
그날 밤 저는 잠 한 숨 못 잤어요
어머니 흘리시던 그 여울 같은 눈물이
하전하전한 나이이신데도 당신의 피를
금물로 바꾸신 글씨였음을 알았거든요
문협 문안지부 刊 『 무안문학』, 2006년에서
작품설명
이 세상 모든 어머니가 부처 아닌 어머니 없을 것이고 하느님 아닌 어머니가 없을 것이다. 어머니의 사랑이라면 하느님도 되고 부처님도 될 것이기 때문이다. 누가 그 헌신을 대신할 만큼 나를 다독여 줄까 생각을 해 보면 아무도 없다고 손사래를 칠 것이다. 허형만 시인의 시 「금물로 쓴 글씨」는 시인의 어머니께서 금물로 쓴 반야심경을 내놓으시면서 그 글씨를 읽어 내려가자 어머니는 말없이 나무아미타불을 외우며 합장을 하셨다고 했다. 본인이 직접 금물로 반야심경을 쓰시지는 않았겠지만 반야심경의 금물 글씨를 받고서 그 뜻을 가슴에 깊이 새겼을 것이다.
글씨를 금물로 썼다고 해서 그 뜻이 더 고귀한 것은 아니다. 글씨를 쓰는 사람의 마음이 얼마나 깊이 담겼느냐에 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물로 글씨를 썼다는 것은 그만큼 그 뜻이 소중하고 마음의 빛으로 삼고 싶다는 애정이 절실하다는 거다. 허형만 시인은 반야심경의 금물 글씨를 통해 일생 어머니께서 무엇을 소망하며 살았는지, 어머니의 손을 잡고 다정다감하게도 눈웃음쳐주며 그 높은 뜻을 금물 글씨로 바꾸어 내놓으신 마음을 바라보신다. 피로 새긴 어머니의 마음 글씨이기에 반야심경 깊은 뜻은 모르더라도 어머니 마음이 글씨로 빛나고 있음을 읽게 하는 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