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정상적인 질출혈과 비정상적인 질출혈

정상적인 질출혈과 비정상적인 질출혈

by 운영자 2019.08.05

많은 여성들은 질출혈을 생리, 월경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경주기가 아닌데 질출혈이 와도 ‘생리가 빨리 오는가 보네’ 하고 오인하는 경우도 있고 폐경이 되었는데 생리가 또 나와요 하는 표현에서 보면 여성들에게 있어서 쉽게 드러내지 못하는 질출혈이라는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병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질출혈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에는 아주 안타까운 상태로 의사를 찾는 경우가 있기에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질출혈, 월경이라고 하는 생리적인 현상은 여성에게 있어서 문화적으로나 심리학적인 면에서 아무에게나 말하거나 보여줄 수 없는 은밀한 생리적인 현상으로 여겨왔습니다. 여성의 상징이나 생리현상들에 대해서 과거에 비해서는 여러 매체를 통해 노출이 쉬워진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의료 영역에서는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생리현상과 비정상적인 특히 병적인 생리현상에 대해서 감추고 싶은 영역이라 비정상을 정상화로 여기는 의식이 생기게 됩니다. 실제로 피해야 할 나쁜 병들을 키워서 오는데 큰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좀 생리가 불규칙해요. 몇 년 전부터 그런데 좀 이상해요’ 이렇게 내원하셔서 의사 앞에서 말을 합니다. 몇 년 전부터 이상한데 정상일거야 하는 잘못된 바람으로 병을 키우는 경우입니다. 진찰을 해서 별거 아니면 괜찮지만 초기 암을 놓쳐 진행된 암인 경우가 대게 그러합니다. 더 흔한 양성질환인 자궁근종과 선근증, 용종 등에 있어서는 생리양과 생리통이 증가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서서히 증가를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조금 증가했다고 병원에 곧바로 내원하는 경우는 적은 편입니다.
난 원래 좀 생리양이 많았으니까 걱정할 건 아니겠지 하고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아주 많은 편입니다. 젊어서부터 생리양이 많은 경우보다는 내 몸에 뭔가 이상이 시작되어 점차 진행되고 있다 느끼는 여성들은 많지 않습니다. 자신의 몸 안에 뭔가 잘못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느끼는 건 쉽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