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찬 바람 부니 더 생각난다. 바지락 칼국수

찬 바람 부니 더 생각난다. 바지락 칼국수

by 운영자 2012.11.12

서민음식의 대표주자 칼국수. 칼국수라는 어원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특별한 재료나 복잡한 조리과정 없이 간단히 해 먹을 수 있는 국수를 보기 좋고 먹기 좋게 하려고 반죽을 칼로 잘랐다고 해서 칼국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본다. 요즘은 흔히 쉽게 먹을 수 있는 칼국수이지만 고려시대에는 특별한 때에나 맛볼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다. 그 시대에는 밀가루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메밀이 주재료였다고. 그러나 보리와 밀 수확이 끝났을 때인 음력 6월 15일에는 갓나온 햇밀로 칼국수와 밀가루 부침 등을 부쳐 이웃과 나눠 먹던 풍습이 있었다. 칼국수는 지방색이 물씬 풍기는 음식이다. 농촌지역에서는 닭 육수에 애호박과 감자 등을 넣어 끓이고 산간지방에서는 멸치장국, 해안지방에서는 바지락장국으로 칼국수를 끓였다. 내륙식은 사골육수에 호박을 채썰어 넣고 소고기 고명을 얹어 깔끔한 국물맛을 냈다. 남도식 칼국수는 멸치에 마늘 파 등을 썰어 넣어 끓인 국물에 고춧가루를 풀어 얼큰하게 끓여내는 것이 특징.
밀가루 음식을 싫어하는 사람도 바지락 칼국수를 먹는 경우가 많다.
바지락은 우리 나라에서 나오는 조개류 중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을 뿐 아니라 가장 많이 먹는 조개이기도 하다. 바지락은 뭐니뭐니해도 껍질째 삶았을 때 나오는 시원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그래서 우리 선조는 예로부터 각종 국거리나 찌개거리의 맛내기에 바지락을 약방의 감초처럼 이용해 온 것이다.

건강에 좋은 바지락 _
바지락 육질 100g 중에는 칼슘(80㎎), 인(130㎎) 외에 마그네슘(50㎎)의 함량도 매우 높아 달걀의 5배나 된다. 바지락은 무기질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대사 조절작용으로 병후 원기회복에 매우 좋다.
바지락에는 노약자와 임산부, 어린이 등에게 꼭 필요한 철분과 코발트성분, 아연이 풍부하다.
바지락은 100g당 13.3mg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다. 같은 양의 소간보다도 철분함량이 높아 빈혈에 좋다.
바지락에는 코발트와 비타민 B2가 들어있어 여성들이 먹기에 좋은 식품이다. 특히 바지락의 철분과 코발트 성분으로 인해 상처가 빨리 회복된다. 또한 B12라는 성분은 조혈작용을 해 빈혈증상 완화 및 예방뿐 아니라 상처 후 빠른 회복을 돕는다.
예로부터 바지락 국물은 숙취에 그만이라고 전해오고 있다. 과음에서 오는 간장애나 간장병 치료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지방간에도 좋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바지락에는 간장의 해독을 촉진하고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타우린의 함량이 높기 때문이다.
바지락의 조갯살까지 함께 먹으면 풍부한 단백질 성분과 지방간에 좋은 성분까지 고루 섭취할 수 있다. 그래서 국물뿐 아니라 살까지 다 먹는 것이 좋다.
명륜동에 자리한 ‘황곰바지락칼국수(764-8121)’. 왕만두와 바지락 칼국수 맛이 좋은 이 집은 음식을 주문하면 먼저 보리밥이 나온다. 채 김치와 고추장을 넣어 비벼 먹는 보리밥은 양이 적어 더 감질나다. 바지락 칼국수는 바지락과 여러 가지 해물로 우려낸 시원한 국물이 좋아 해장용으로도 많이 찾는다. 특히 바지락은 날것으로 먹기보다 국물을 우려내면 특유의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나와 한층 풍미가 좋아진다. 함께 먹는 겉절이와 채 김치도 맛이 좋다.

김경주 기자 pool1004.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