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하얀 짬뽕도 별미

하얀 짬뽕도 별미

by 운영자 2012.09.11

짬뽕과 짜장면, 결코 때려야 땔 수 없는 관계. 중국집에서 주문할 때 잠시라도 고민을 하게 만드는 짬뽕과 짜장면. 중국집에서 쉽게 먹을 수 있는 짬뽕은 중국어도 한국어도 아닌 일본어다. 짬뽕은 각종 채소와 해물을 기름에 볶은 후 고추기름과 육수를 넣고 끓이다 면을 말아 만든 음식으로 중국집에서 주로 판매하지만 중국 본토에는 없는 음식이다. 일본에서 시작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일본 나가사끼 화교들이 만든 음식에서 유래됐다.
일본의 나가사끼는 여러나라의 음식문화가 공존했던 곳으로 나가사끼의 가난한 중국 유학생들이 채소와 고기 어패류 등을 볶아 중화면과 함께 끓여 만든 푸짐한 양과 영양만점의 요리가 짬뽕의 처음이다.
이 음식은 중국 산동성지역의 음식인 초마면과 비슷하고 초마면이 일본에서 ‘참퐁’으로 바뀌고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짬뽕으로 불렸다. 나가사끼 짬뽕은 우리나라에서의 짬뽕과는 다르게 하얀색이 특징이다. 매운맛이 없으며 중국 유학생은 물론 일본인들도 즐겨 먹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처럼 짬뽕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지금처럼 빨간 국물에 맵고 얼큰한 음식이 아니었지만 매운맛을 즐기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해왔다.

★ 굴짬뽕
매운맛이 나는 짬뽕과는 다른 굴짬뽕은 굴의 담백하고 시원한 맛을 살리기 위해 고춧가루와 고추기름을 뺀 맑은 하얀 국물로 내어 놓는다. 나가사끼 짬뽕과는 다른 굴이 주가 된다.

★ 삼선짬뽕
제철의 해물을 듬뿍 넣고 즉석에서 볶아 국물을 만들어 고급스럽게 요리한 짬뽕이다. 일반 짬뽕보다 고급 재료와 신선한 맛을 더 느낄 수 있다. 삼선은 육(땅), 해(바다), 공(하늘)의 진미를 말하며, 하늘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 땅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 바다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를 넣는다는 뜻으로, 꿩, 송이버섯, 해삼을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반 짬뽕보다 좋은 재료를 넣어 만들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 나가사끼 짬뽕
일본 나가사끼식의 짬뽕이다. 국물이 맵지 않고 닭과 돼지뼈를 우린 육수에 숙주를 많이 넣으며 마지막에 면을 같이 삶아 내어 모든 제조과정이 하나의 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한국식 짬뽕과의 차이점이다. 나가사끼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유명하다. 한국의 중국음식점에서 내어 놓는 우동과 더 비슷하다.

★ 비빔짬뽕
짬뽕이긴 하지만 국물이 없다. 즉 비빔면의 형태를 지닌 짬뽕으로서 국물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보통의 짬뽕과 내용물이 동일하다. 다른 짬뽕과는 달리 극히 일부의 중국집에서만 판매된다.
이외에 짬뽕에 면을 말지 않고 당면을 추가하고 밥을 함께 제공한 국밥과 같은 형태의 짬뽕밥도 있다.

★ 빨간짬뽕 VS 흰짬뽕
해물이 가득한 짬뽕이 당기는 날이 있다. 하지만 요즘 짬뽕들은 왜 그리 매운지. 짬뽕의 전설(735-3500)에 갔다. 이 집은 해물이 푸짐하고 매콤한 국물맛이 좋아 짬뽕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선 유명한 맛집이다. 매운 것을 잘 먹지 못하는 나는 흰짬뽕을 주문해 봤다. 맵지 않은 짬뽕? 왠지 낯선 음식일 것이라 생각했다. “우동과 비슷하겠지”라는 생각으로 국물을 뜨자 진국이라는 생각이 든다. 맵지 않아 좋고, 가볍지 않은 맛이 좋고, 해물도 가득, 면발도 탱글탱글하고 매운 빨간짬뽕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음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짬뽕 특유의 고소하고 진한 맛이 우동과도 많이 다르다.

김경주 기자 pool1004.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