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소리꾼

소리꾼

by 운영자 2020.07.02

<장르> 드라마
<감독> 조정래
<출연> 이봉근, 이유리, 김하연, 박철민, 김동완, 김민준
<개봉> 7월 1일

억새로 가득한 들판에 두 명의 남자와 한 아이가 있다. 그리고 어느새 일행은 셋에서 다섯, 일곱이 된다.
조선 영조 10년 착취와 수탈, 인신매매로 정국이 어수선한 시기 납치된 아내 간난을 찾아 길을 나선 학규가 있다. 그는 딸 청이와 장단잽이 대봉과 함께 조선팔도 유랑에 나서고 전국 방방곡곡을 떠돌아다니며 저잣거리에서 이야기를 풀어낸다.
소리꾼 학규에게는 달리 아내를 찾을 방법이 없다. 그가 가진 재주, 소리뿐이다. 저잣거리에 모인 사람들에게 소리를 들려주고 아내 간난의 그림자 하나라도 그 흔적을 찾고 싶을 뿐이다.
그 이야기의 중심에 ‘심청가’가 있다. 학규는 자신이 지어낸 ‘심청가’에 곡조를 붙여 저잣거리 사람들에게 들려준다. 구슬픈 그 소리를 듣고있자니, 어미를 찾아 나선 청이에게 들려주는 것 같기도 하고 길동무가 된 일행들에게 또 극장의 관객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같기도 하다.
물론 ‘심청가’는 우리가 모두 아는 내용이다. 하지만 학규의 소리가 다르다. 학규를 연기한 배우 이봉근의 소리는 그 감정을 오롯이 담아낸다. 국악계 명창이자 젊은 소리꾼인 이봉근의 소리는 어느새 점점 다가와 마음을 울린다. 감정에 북받쳐 소리를 하다가 뛰쳐나가는 학규의 뒤로 뒷이야기를 궁금해하는 저잣거리의 사람들과 같은 마음이 된다.
‘소리꾼’은 소리 영화이기도 하지만, 가족의 복원을 말한다. ‘심청가’를 택한 이유도 가족이다. 학규와 청이의 이야기 맞은 편에는 그가 전하는 심청이의 이야기가 있다. 같으면서도 다른 두 개의 이야기가 영화 속 액자 구조로 펼쳐져 눈길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