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 도발 규탄 ‘재팬 보이콧’ 확산
일본 경제 도발 규탄 ‘재팬 보이콧’ 확산
by 운영자 2019.08.13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으로 불붙은 ‘재팬 보이콧’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
원주평화의소녀상시민모임·원주시민연대는 7일 원주시청 공원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아베 규탄대회를 갖고 일본정부의 성노예 만행 배상과 경제침략행위 중단 등을 촉구했다.
이 날 참석한 시민사회단체와 학생, 교사 등은 장대비 속에서도 위안부 피해자 묵념, 규탄 발언 및 퍼포먼스로 ‘NO 아베’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참석자들은 메시지 전달의 왜곡을 막기 위해 규탄 대상을 광범위한 일본이 아닌 아베 정권으로 규정했다. ‘아베 규탄’ 등의 문구가 담긴 상자를 부수는 퍼포먼스를 통해 과거사에 반성없는 아베 총리를 규탄하고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공식 사과와 배상, 올바른 역사 교육 등을 촉구했다. 또 이날 발표된 원주 평화의 소녀상 시민모임의 아베 규탄 성명은 전국 120여 곳 평화의 소녀상 제막 지역이 채택, 규탄 열기를 이어간다.
시민단체는 14일 오후 7시 원주소녀상에서 아베 규탄 시민문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원주시·시의회도 재팬 보이콧 운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7일부터 일본제품 불매 스티커 1만장을 배부한 것을 시작으로 차량용 및 상가용 2만장을 추가로 제작, 배부한다. 시의회도 8일 부당한 경제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일본 제품 불매운동 추진계획을 수립해 물품 구매 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본 제품 구매를 중단하고, 공사 발주시 설계단계부터 일본산 자재 및 장비 등이 배제되도록 관리·감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 출자·출연기관 등 모든 공공부문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권장할 방침이다.
최근에는 읍면동 자생단체도 도심 곳곳에 일본제품 불매운동 현수막을 게시했다.
각계각층의 시민사회단체들도 릴레이 불매운동 캠페인에 나선다.
원주시의회(의장 신재섭)는 8일 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 정부의 부당한 경제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한다.
12일, 원주인권네크워크(공동대표 이선경, 안경옥, 박혜영)도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원창묵 시장은 “과거사 반성 없는 일본 정부의 보복적 경제 규제로 촉발된 총칼 없는 경제 전쟁을 맞아 100년 전 선조들의 3·1운동 정신을 되새기며 당당히 맞서 나가겠다”며 “전 직원의 솔선수범과 함께 시민의 적극적인 동참과 성원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기영 기자 mod1600@hanmail.net
원주평화의소녀상시민모임·원주시민연대는 7일 원주시청 공원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아베 규탄대회를 갖고 일본정부의 성노예 만행 배상과 경제침략행위 중단 등을 촉구했다.
이 날 참석한 시민사회단체와 학생, 교사 등은 장대비 속에서도 위안부 피해자 묵념, 규탄 발언 및 퍼포먼스로 ‘NO 아베’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참석자들은 메시지 전달의 왜곡을 막기 위해 규탄 대상을 광범위한 일본이 아닌 아베 정권으로 규정했다. ‘아베 규탄’ 등의 문구가 담긴 상자를 부수는 퍼포먼스를 통해 과거사에 반성없는 아베 총리를 규탄하고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공식 사과와 배상, 올바른 역사 교육 등을 촉구했다. 또 이날 발표된 원주 평화의 소녀상 시민모임의 아베 규탄 성명은 전국 120여 곳 평화의 소녀상 제막 지역이 채택, 규탄 열기를 이어간다.
시민단체는 14일 오후 7시 원주소녀상에서 아베 규탄 시민문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원주시·시의회도 재팬 보이콧 운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7일부터 일본제품 불매 스티커 1만장을 배부한 것을 시작으로 차량용 및 상가용 2만장을 추가로 제작, 배부한다. 시의회도 8일 부당한 경제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일본 제품 불매운동 추진계획을 수립해 물품 구매 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본 제품 구매를 중단하고, 공사 발주시 설계단계부터 일본산 자재 및 장비 등이 배제되도록 관리·감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 출자·출연기관 등 모든 공공부문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권장할 방침이다.
최근에는 읍면동 자생단체도 도심 곳곳에 일본제품 불매운동 현수막을 게시했다.
각계각층의 시민사회단체들도 릴레이 불매운동 캠페인에 나선다.
원주시의회(의장 신재섭)는 8일 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 정부의 부당한 경제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한다.
12일, 원주인권네크워크(공동대표 이선경, 안경옥, 박혜영)도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원창묵 시장은 “과거사 반성 없는 일본 정부의 보복적 경제 규제로 촉발된 총칼 없는 경제 전쟁을 맞아 100년 전 선조들의 3·1운동 정신을 되새기며 당당히 맞서 나가겠다”며 “전 직원의 솔선수범과 함께 시민의 적극적인 동참과 성원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기영 기자 mod1600@hanmail.net